본문 바로가기
영화/한국 영화

'샤크 : 더 비기닝' 리뷰: 학교폭력·성장·액션 모두 담은 위하준X김민석의 감동 액션영화

by 씬토커(SceneTalker) 2025. 5. 13.
반응형

한국 액션 영화 '샤크 : 더 비기닝'은 학교폭력의 현실을 날카롭게 짚으면서, 감옥이라는 특수한 공간 속에서 인물의 성장과 짜릿한 격투 액션을 그려낸다. 웹툰 원작을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위하준과 김민석의 열연으로 몰입감을 더하며, 감정과 폭력, 희망과 절망이 교차하는 감동적인 드라마를 완성한다. 본 리뷰에서는 '샤크: 더 비기닝'의 핵심 줄거리, 인물의 내적 성장, 액션의 묘미, 그리고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영화의 매력을 깊이 있게 분석한다.


1. 핵심 줄거리: 액션 이상의 감정

이야기는 두 명의 청소년이 소년 교도소에서 만나며 시작된다. 격투기 챔피언 출신 ‘정도현’(위하준)은 가족을 잃은 후 살인을 저지르고 죗값을 치르고 있다. 반면, 조용하고 소심한 ‘차우솔’(김민석)은 학교폭력의 피해자로, 자신을 방어하려다 우발적인 사건으로 수감된다. 두 사람은 교도소에서 만나 우정을 쌓고, 우솔은 도현에게 싸움과 함께 삶의 태도를 배운다.

 

이 영화는 전형적인 '왕따 → 강해짐 → 복수' 공식에 따라 흘러가지만, 그 안에서 ‘진짜 강함’은 무엇인지 질문을 던진다. 단순히 싸움을 잘하게 되는 게 아니라, 아픔을 견디고 일어서는 법을 배우는 것이 이 영화의 핵심이다.


2. 메시지는 간단하다: '샤크'의 의미, 움직이지 않으면 가라앉는다

이 영화는 다소 클리셰적인 구조를 따르지만, 그 안에 담긴 메시지는 강력하다. “상어는 부레가 없어서 움직이지 않으면 가라앉아 죽는다. 너도 끊임없이 움직여라.”라는 대사는 영화 전체를 요약하는 핵심 문장이다. 살아남기 위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우솔은 스스로를 단련하고, 끝없이 싸우며 성장해 간다.

 

단지 싸움을 위한 싸움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는 자신이 피해자에 머무르지 않고 주체적인 존재로 변한다. 도현은 그에게 기술이 아닌 정신을 가르친다. '숙이지 않아도 될 힘'을 가르치는 것이다.

 

여기서 우솔의 성장이 주목할만하다. 그는 폭력적인 남성성이 지배하는 세상 속에서 오랫동안 억압받아 왔다. 격투를 배우는 과정을 통해 우솔은 단순히 싸우는 기술뿐만 아니라 자존감과 자기 통제력을 얻게 된다. 고통을 견디는 내면의 힘, 뚜렷한 목표 의식, 그리고 타인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된다. 이는 단순한 강함이 아닌,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비전을 제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남성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배석찬'(정원창)의 이야기는 우솔의 성장과 대비되며 '폭력은 결국 폭력'이라는 메시지를 던진다. 이상적인 무술을 배우는 우솔과 달리, 파괴적인 헤게모니를 추구하는 석찬의 모습은 폭력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제한된 공간인 감옥에서 우솔의 성장은 가능했지만, 과연 그들이 끊임없이 싸움만을 반복할 것인지, 아니면 더 큰 목적을 가진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여운을 남긴다.


김민석(차우솔), 위하준(정도현), 정원창(배석찬)

3. 액션, 연기, 그리고 리듬감

이 영화의 액션은 기대 이상이다. 싸움 하나하나에 서사가 있고, 기술마다 캐릭터의 개성이 묻어난다. 격투 장면은 단지 박력 있는 장면이 아니라, 캐릭터가 성장해가는 과정의 일부로 기능한다. 

 

김민석은 우솔의 소심함과 변화하는 내면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몰입감을 더하고, 위하준은 냉철하지만 따뜻한 멘토로서 강렬한 존재감을 남긴다. 악역 정원창 역시 극의 긴장감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영화의 클라이맥스를 장식하는 세 번의 큰 격투 장면은 우솔이 공격하는 모습뿐만 아니라 고통을 감내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과거 고통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괴롭힘을 당했던 우솔이, 고통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싸움을 선택함으로써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강렬하게 그려낸다.


4. 웹툰 원작과의 비교: 부족한 점은?

하지만 단점이 없진 않다. 몇몇 장면의 연결이 어색하고, 감정선을 더 깊게 다뤘다면 더 몰입할 수 있었을 것이다. 웹툰 원작 팬 입장에서는 영화가 다소 축약되어 감정이 겉도는 느낌도 있다. 도현의 과거 이야기가 조금 더 깊이 다뤄졌다면, 그의 고통과 상처가 더 절절하게 와닿았을 것이다.

 

또한 악역 서사와 결말 처리 부분은 다소 단조롭고 뻔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이게 다야?” 싶은 마무리지만, 웹툰의 ‘1부’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다룬 만큼 후속작을 기대하게 만든다.


5. 결론: 이건 단순한 액션 영화가 아니다

'샤크 : 더 비기닝'은 단순한 액션 영화가 아니다. 그것은 상처받은 청소년이 진짜 어른이 되기 위해 자신을 바꿔나가는 이야기다. 끝없이 맞고도 다시 일어나는 우솔은 마치 애니메이션 속 주인공처럼 집요하다. 그에게 싸움은 자기 증명의 과정이며, 성장을 위한 통과의례다.

 

이 영화는 대중적인 구조 안에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진짜 강하다는 건 뭘까?” 누구에게나 고통은 있고, 누구나 상처를 안고 산다. 중요한 건 그걸 이겨내려는 의지다. 그래서 이 영화는 클리셰임에도 진심으로 다가온다.


작품 정보

영화 제목 : 샤크 : 더 비기닝(shark : the begining)

장르 : 한국영화, 액션, 드라마, 폭력

공개일 : 2021.06.17.

상영 시간 : 108

스트리밍 : 티빙(TVING)

감독 : 채여준 / 각본 : 민지

출연배우(등장인물) : 김민석(차우솔), 위하준(정도현), 정원창(배석찬), 이재균(안현민), 배명진(이원준), 이정현(한성용), 차엽(정상협), 신민재(민종태), 나소예(정원영), 이현욱(현우용), 이은재(윤지희)

반응형